브랜딩 썸네일형 리스트형 CI(Corporate Identity)란? 원태현 (두블링 DOBLING, 브랜드 디자이너,UX기획자) 오늘날 같은 다양화, 차별화, 개성화 시대 개인의 브랜딩 부터 기업의 브랜딩까지 브랜딩의 범위가 넓어지고 브랜딩를 통해 서비스와 가치를 차별화 시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디자인에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CI와 BI의 차이점을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CI란? CI의 개념 지난번글에서 CI란 Corporate Identity의 약자로서 글자 그대로 ‘기업 아이덴티티’를 의미하며 ‘기업 이미지 통일화 작업’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좀 더 이말을 풀어서 해석해보자면 모바일, 홈페이지, 인쇄물등 기업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상품/서비스/요소등 전반적인 곳에 사용되기 때 문에 기업의 지향하고자하는 방향성과 정체성을 간결한 상징으로 요약하여 .. 더보기 CI vs BI 원태현 (두블링 DOBLING, 브랜드 디자이너,UX기획자) 오늘날 같은 다양화, 차별화, 개성화 시대 개인의 브랜딩 부터 기업의 브랜딩까지 브랜딩의 범위가 넓어지고 브랜딩를 통해 서비스와 가치를 차별화 시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디자인에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CI와 BI의 차이점을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CI와 BI의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자 CI vs BI CI와 BI의 차이점 CI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의 특성이나 독자성이 통일된 이미지나 디자인, 또 알기 쉬운 메시지로 표현하여 사회에 공유함으로써 존재 가치를 높이는 기업 전략이다. BI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즉 BI는 다른상품과 구별되는 가치를 .. 더보기 실무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방법(2) 한윤석 (두블링 DOBLING, UI/UX 디자이너) 현재 1년차 주니어에서 미래 프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같은 상황의 모든 신입, 주니어, 초보, 입문,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해 매주 제가 경험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업로드 합니다. 저번글에서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디자이너와 개발자 각자의 Agenda와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팀의 목표와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글에서는 디자인 시스템 정의 및 개발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실무에서의 디자인 시스템 구축 디자인 시스템 정의 Design Principle & Pattern 똑똑한 개발자 디자인 시스템 원칙 Design Principle 디자이너 개발자간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일관성, 효율성, 확장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여.. 더보기 CI vs BI 원태현 (두블링 DOBLING, 브랜드 디자이너,UX기획자) 오늘날 같은 다양화, 차별화, 개성화 시대 개인의 브랜딩 부터 기업의 브랜딩까지 브랜딩의 범위가 넓어지고 브랜딩를 통해 서비스와 가치를 차별화 시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디자인에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CI와 BI의 차이점을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CI와 BI의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자 CI vs BI CI와 BI의 차이점 CI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의 특성이나 독자성이 통일된 이미지나 디자인, 또 알기 쉬운 메시지로 표현하여 사회에 공유함으로써 존재 가치를 높이는 기업 전략이다. BI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즉 BI는 다른상품과 구별되는 가치를 .. 더보기 심플한 디자인의 원리 - 축소, 숨기기, 구체화 원태현 (DOBLING, 기획자) 브랜딩과 디자인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축소하고(Shrink), 숨기고(Hide) 구체화(Embody)하는 작업은, 심플한 디자인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이다. 이러한 이론이 잘 들어났다고 보는 우리 일상생활 속 물건에 대해 소개 하겠다. 심플한 디자인의 원리 축소하고(Shrink), 숨기고(Hide) 구체화(Embody) 나는 축소하고(Shrink), 숨기고(Hide) 구체화(Embody)의 대표 적인 예로 전화를 생각하였다. 과거 초기 전화는 송신장치와 수신 장치가 분리되어있었고 또한 그 크기 또한 거대하였다 이러한 크기로 인해 이동은 당연히 불가능하며 전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도 불편함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한 손은 귀에 한손은 입에 대고 있으.. 더보기 현대자동차-소나타(Sonata)의 한계 원태현(DOBLING, 기획자) 자동차 브랜딩과 디자인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그 첫번째 순서로 소나타를 소계하고자 한다. 현대 자동차가 1985년부터 생산하는 세단으로 2023년을 기준으로 38년째 생산되고 있으며, 현대의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인 중형 세단이다. 이 차를 통해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정체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소나타는 비단 현대를 대표하는 차종인 것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패밀리 세단이라 할 수 있을정도로 우리의 생활과 문화에 단순한 이동수단 이상의 영향을 줬다. 우리 주위의 소나타와 관련된 추억이 없는 사람을 찾기 힘들 정도로 우리의 삶의 깊게영향을 줬다. 30년이 지나는 동안에도 대한민국 중형세단의 특징인 2리터 자연흡기 엔진은 유지하고 있지만 지금의 소나타는 예전의 패밀리..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