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에이전시

UI디자인, 드롭 쉐도우 사용 가이드 한윤석 (두블링 DOBLING, UI/UX 디자이너) 현재 1년차 주니어에서 미래 프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같은 상황의 모든 신입, 주니어, 초보, 입문,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해 매주 제가 경험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업로드 합니다. 피그마에서 UI디자인을 진행할 때 엘리먼트에 그림자를 주게 되는때, 이때 가장 아름다운 그림자를 주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그림자를 어떻게 주고 계신가요? 드롭 쉐도우 사용 가이드 피그마를 활용해 드롭 쉐도우 잘 넣기 드롭 쉐도우의 중요성 부드러운 드롭 쉐도우는 시각적 계층 구조를 개선하며 보다 직관적이고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현실감을 조성하기 때문에 UI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림자 값 사용 가이드 드롭 그림자를 부드럽게 유.. 더보기
CI vs BI 원태현 (두블링 DOBLING, 브랜드 디자이너,UX기획자) 오늘날 같은 다양화, 차별화, 개성화 시대 개인의 브랜딩 부터 기업의 브랜딩까지 브랜딩의 범위가 넓어지고 브랜딩를 통해 서비스와 가치를 차별화 시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브랜드 디자인에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CI와 BI의 차이점을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CI와 BI의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자 CI vs BI CI와 BI의 차이점 CI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의 특성이나 독자성이 통일된 이미지나 디자인, 또 알기 쉬운 메시지로 표현하여 사회에 공유함으로써 존재 가치를 높이는 기업 전략이다. BI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즉 BI는 다른상품과 구별되는 가치를 .. 더보기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하고싶다면? 이것부터 알아야죠! 한윤석 (두블링 DOBLING, UI/UX 디자이너) 현재 1년차 주니어에서 미래 프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같은 상황의 모든 신입, 주니어, 초보, 입문,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해 매주 제가 경험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업로드 합니다.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면서 디자이너로써 너무 재미있었고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는데요,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은 아토믹 디자인 방법론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려고 합니다. 아토믹 디자인 방법론 아토믹 디자인이란? 원소개념 Brad Frost가 만든 Atomic Design 방법론은 명확한 순서와 계층 구조로 강력한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 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방법론은 모든 물질의 구성이라는 기본 화학 개념에서 파생되.. 더보기
실무에서 사용하는 UX디자인 방법론 - 애자일UX 한윤석 (두블링 DOBLING, UI/UX 디자이너) 현재 1년차 주니어에서 미래 프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같은 상황의 모든 신입, 주니어, 초보, 입문,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해 매주 제가 경험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업로드 합니다. 실무에서 현업 디자이너로 일을 하다보면 스타트업,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등 회사의 성격별로 워터폴, 린UX, 애자일 UX 등 회사에서 진행하는 실무 프로세스가 다양합니다. 요즘은 빠른 가설과 검증을 지향하는 에자일 방법론을 많이 적용하고 있고 실제 내가 일하는 곳에서도 2주단위 스프린트 애자일 UX를 통해 빠른 업무를 이어나갑니다. 이 글에서 애자일 UX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방법론 빠른 가설과 검증 애자일 UX란? 기존의 제품 .. 더보기
탭과 세그먼트 버튼의 차이점 한윤석 (DOBLING, UI/UX 디자이너) 현재 1년차 주니어에서 미래 프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으로써 같은 상황의 모든 신입, 주니어, 초보, 입문, 예비 디자이너들을 위해 매주 제가 경험한 디자인 인사이트를 업로드 합니다. 두블링의 공모전(BNK 경남은행 앱 디자인 공모전)준비를 위해 UI디자인 작업을 하는 도중 문제에 부딪히게 됩니다. 경남은행 카드 페이지 기존UI 기존 경남은행 앱 화면을 UI를 개선하는 디자인을 진행중에 있는데 위 화면의 네모박스 안에 '전체, VIP, 체크카드, 신용카드(개인/기업)' 버튼을 어떻게 개선할 것이냐?에 대해서 토론을 하게 됩니다. 팀원들과 상의 후 최종적으로 Tab 버튼과 Segment button중 Segment button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결.. 더보기